2007년 9월 1일 토요일

텔레아틀라스 3D 내비게이션

텔레아틀라스(Tele Atlas)는 세계적인 전자도로지도 제작회사입니다. 본사가 네덜란드에 있고, 유럽지역에서는 점유율이 매우 높습니다. 미국에서는 나브텍(Navteq)가 거의 휘어잡고 있고요. 두 회사 모두 한국지사가 있습니다. (텔레아틀라스 한국지사소식, 나브텍 한국지사 소식) 이중 텔레아틀라스가 유럽지역 30개 주요도시를 대상으로 3D 모델을 제작, 공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먼저 아래 비디오를 보시죠. 3D 모델이 상당히 현실적이라는 것을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회사가 일부 도시에 대해 3차원 모델을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보이는 정도의 수준은 아니고, 거의 건물이 박스형태입니다. 예를 들어, 엠앤소프트(구 만도맵앤소프트)의 3차원 모델 서비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 것은 실제 3D 모델이라고는 볼 수 없습니다. 그냥 건물 층수정보를 사용해서 위로 뽑아올린 정도죠.

반면, 위에서 텔레아틀라스에서 서비스하겠다는 건 실제 3D 모델에 가깝습니다. 건물을 상당한 정도로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길을 찾을 때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작은 골목으로 들어설 때에는 이쪽 골목이 맞는지 다음 골목이 맞는지 헛갈릴 수 있는데, 건물의 형태를 보면서 방향을 잡을 수 있겠죠.

현재도 일본에서는 3차원 내비게이션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일본 소니의 경우 2004년 후반부터 3차원 내비게이션 XYZ 시스템을 판매하고 있죠. 그러나, 유럽이나 미국의 경우에는 3차원에 대해 아직도 미온적이었습니다.

그런데, 원문을 보시면 텔레아틀라스에서는 상당히 상세하고 실세계와 비슷한 3차원 모델을 매우 적은 량으로 구축할 수 있는 "parametric texture" 기술을 적용할 예정인데, 이 기술은 독일 GTA Geoinformatik GmbH에서 개발하였다고 합니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색만 입힌 블록형태의 모델", "외관 및 지붕을 자세한 텍스처로 입힌 모델"까지 여러가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ETRI에서 작성한 차세대 내비게이션 기술 현황 및 전망이라는 글에서는 현재의 내비게이션을 "지도나 위성영 바탕으로 사용하는 2차원 또는 3차원 그래픽 기반 제품과 실사 영상 기반 제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운전자의 시야에 보이는 실제 도로의 모습을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취득하여 단말에 보여주면서 그 위에 경로 안내 정보를 부가하여 보여줄 수있도록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실감 내비게이션이 차세대 기술로 연구되고 있으며 향후 이러한 시스템은 차창 을 단말로서 이용하는 내비게이션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하고 있습니다.

기술은 계속 발전하고 있고, 성능과 용량은 계속 확대될 것이므로 언젠가는 우리나라에도 3차원 내비게이션이 등장하겠죠. 그 날을 앞당기려면 빨리 3차원 빌딩 정보를 제작하여 배포해야 할테고요.

민, 푸른하늘
====
이 글은 http://digitalurban.blogspot.com/2007/08/3d-sat-nav-in-car-21-cities-tele-atlas.html을 참고로 작성했습니다.

2007년 8월 31일 금요일

피카사 웹앨범의 geotag 사진보기(Browsing geotagged photos from Picasa Web Albums)

8월 30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요즘 이 블로그가 소식이 많이 나오네요. 덕분에 저도 바빠졌습니다. :-)

얼마전 Flikr에서 KML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라는 기사에서 플리커에서 geotag가 달린 사진을 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올렸었는데, 이번엔 피카사 웹앨범에도 비슷한 기능... 아니 더 향상된 기능이 나왔네요. 저는 사실 사진에 geotag 다는 것까지는 관심이 없어서 파노라미오 비슷한 사이트들을 가입도 하지 않았었는데, 피카사에도 비슷한 기능이 있다니 조금 관심이 갑니다. (앨범관리용으로 피카사 데스크탑을 사용중이거든요.)

그런데, 지금도 접속해 봤는데, 앨범을 만들어도 "사진을 끌어다 놓기만 하면 된다"는 기능을 못찾겠습니다. 이상하네요. 영문에서만 되는걸까요?

민, 푸른하늘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http://google-latlong.blogspot.com/2007/08/posted-by-ping-hsin-chen-software.html
Thursday, August 30, 2007 at 4:02 PM

약 1개월전, 피카사 웹앨범 서비스에서 여러분의 사진에 geotag를 쉽게 붙이는 기능을 추가하였습니다. "Map My Photos"옵션을 사용하면 말 그대로 사진을 지도에 끌어다 놓기만하면 되는 기능입니다. 이미 피카사 웹앨범을 사용하는 많은 분들이 전세계 수백만장의 사진에 지도정보를 추가하였습니다.

이제, 위치정보가 부가된 모든 사진을 구글맵에서 검색하고 확인할 수 있는 맵플릿이 개발되었습니다. My Maps 탭에 피카사 웹앨범 맵플릿 추가를 클릭하시고, 구글맵에서 여러분이 좋아하는 곳으로 찾아간 후, 맵플릿을 활성화시켜 보세요. 엄청난 사진들이 등장할 겁니다! 여러분만이 아는 쉼터에 어떠한 사진이 있는지 살펴보거나, 파리로 가상 휴가를 떠나실 수도 있습니다. 세계가 여려분의 손안에 들어온 것입니다.

사진을 둘러보시면서 사진에 연결된 제목들을 기준으로 키워드 검색도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런던으로 가셔서 확대를 하신 후, 피카사 맵플릿의 검색창에 "eye"를 입력해보세요. 이제 전세계에서 수많은 분들이, 거대한 런던 아이 관람차(London Eye) 안팎에서 촬영한 사진들만 필터링되어 나타날 것입니다.

피카사 웹앨범을 사용해서 여러분의 사진에 지도 위치를 첨가하는 방법을 알고 싶으시다면, 예전
구글 공식블로그 포스트나, 데모 갤러리를 방문해 보세요. 여러분의 사진에 위치를 부가하고, 앨범을 공개하고 검색할수 있게 설정만해두면 지도에서 직접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구글 LatLong 블로그 목록 : http://heomin61.tistory.com/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