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google-latlong.blogspot.com/2007/07/nasa-in-google-earth.html
Thursday, July 19, 2007 at 2:07 PM
Posted by Wei Luo, Senior GIS Specialist
=====
7월 19일자(31번째) 구글 LatLong 블로그 포스트를 번역한 내용입니다. 구글어스에 NASA에서 촬영한 사진이 새로운 레이어로 탑재되었다는 내용입니다. 아쉽게도 우리나라 관련 사진은 많이 없습니다. (백두산 사진이 있네요.^^)

세번째 레이어는 야간 열적외선 촬영사진입니다. 까만 배경에 주요 도시와 도로들이 하얗게 나타납니다. 북한 쪽에는 밝은 부분이 거의 없다는 것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야간에 열을 많이 내지 않는다.... 즉, 인간의 활동이 많지 않다는 뜻입니다.

민, 푸른하늘
====
몇 달 전, 구글어스 팀과 미항공우주국(NASA)는 NASA의 "지구 프로그램(Earth Program)"을 널리 알리고자 협동작업을 시작했습니다. 지난 몇 달 간의 작업끝에 이제 구글어스에 "NASA" 레이어 그룹((Layers->Primary Databases->Featured Content->NASA)이 실리게 되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정말 매력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반인들은 대부분 미우주항공국이 우주탐험을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은 잘 알고 있지만, 지구 탐사에도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사실은 잘 모르고 있습니다. 이 새로운 NASA 레이어 그룹은 NASA가 보유한 정말 흥미로운 콘텐츠를 담고 있습니다.
새로운 "NASA"레이어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주인의 지구촬영사진(Astronaut Photography of Earth)
위성영상(Satellite Imagery)
도시의 빛(Earth City Lights)
1980년대 초 시작된 머큐리 미션을 시작으로, 많은 우주인들이 지구의 모습을 사진에 담아왔습니다. "우주인의 지구촬영사진" 레이어에는 온라인 우주인사진 모음집(online Astronaut Photography collection)에 있는 사진중 최고의 사진을 실었습니다.

"위성영상"레이어에는 수년간에 걸쳐 NASA 위성들이 촬영한 매우 흥미로운 지구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일부 위치표지(placemarks)에는 다른 연도나 계절에 촬영한 영상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옵션도 제공합니다. 이 영상들을 지표면에 다운로드하여 지표면에 중첩시킬 수도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우주 프로그램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이러한 사진들을 보려고 NASA 웹사이트를 몇시간씩 지켜보곤 했는데, 이제 그 사진들을 구글어스에서 직접 볼 수 있게 되어 매우 즐겁습니다. 여러분도 저처럼 화산을 좋아하신다면 37.730000°, 15.000000에 있는 에트나 화산(Mt. Etna)의 분화모습을 담은 위성영상을 꼭 중첩해 보세요!

"도시의 빛"레이어는 원래 유명한 사진이긴 하지만 새로운 지평을 열었습니다. 여러분은 전세계에 걸쳐 도시화가 진행되는 상황을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도시이름 및 도로명 레이어를 켜둔 상태로 이 레이어를 살펴보았는데, 훨씬 흥미로웠습니다. 미국 주간고속도로(interstate highway)시스템이 밝은 빛을 내는 도시들을 그물망처렴 연결하고 있는 듯 하거든요. 시베리아 철도도 모스크바로부터 아시아의 중심을 거쳐 블라디보스토크까지 가드다란 선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저는 세계 여러곳을 날라다니면서 전혀 기대하지 못했던 현상들을 만나고, 그 원인이 무엇인가를 생각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또다른 뉴스로서, 구글어스에 유럽 도로가 갱신되었고, 15개국 도로가 새로이 입력되었으며, 네덜란드의 기업 내역 등 새로운 콘텐츠가 입력되었고 국가이름을 네덜란드어로 제공하게 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유럽으로 여행할 예정이시라면 새롭게 갱신된 레이어를 꼭 확인해 보세요!
====
구글 LatLong 블로그 목록 : http://heomin61.tistory.com/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