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Navigation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Navigation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7년 9월 1일 토요일

텔레아틀라스 3D 내비게이션

텔레아틀라스(Tele Atlas)는 세계적인 전자도로지도 제작회사입니다. 본사가 네덜란드에 있고, 유럽지역에서는 점유율이 매우 높습니다. 미국에서는 나브텍(Navteq)가 거의 휘어잡고 있고요. 두 회사 모두 한국지사가 있습니다. (텔레아틀라스 한국지사소식, 나브텍 한국지사 소식) 이중 텔레아틀라스가 유럽지역 30개 주요도시를 대상으로 3D 모델을 제작, 공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먼저 아래 비디오를 보시죠. 3D 모델이 상당히 현실적이라는 것을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회사가 일부 도시에 대해 3차원 모델을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보이는 정도의 수준은 아니고, 거의 건물이 박스형태입니다. 예를 들어, 엠앤소프트(구 만도맵앤소프트)의 3차원 모델 서비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 것은 실제 3D 모델이라고는 볼 수 없습니다. 그냥 건물 층수정보를 사용해서 위로 뽑아올린 정도죠.

반면, 위에서 텔레아틀라스에서 서비스하겠다는 건 실제 3D 모델에 가깝습니다. 건물을 상당한 정도로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길을 찾을 때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작은 골목으로 들어설 때에는 이쪽 골목이 맞는지 다음 골목이 맞는지 헛갈릴 수 있는데, 건물의 형태를 보면서 방향을 잡을 수 있겠죠.

현재도 일본에서는 3차원 내비게이션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일본 소니의 경우 2004년 후반부터 3차원 내비게이션 XYZ 시스템을 판매하고 있죠. 그러나, 유럽이나 미국의 경우에는 3차원에 대해 아직도 미온적이었습니다.

그런데, 원문을 보시면 텔레아틀라스에서는 상당히 상세하고 실세계와 비슷한 3차원 모델을 매우 적은 량으로 구축할 수 있는 "parametric texture" 기술을 적용할 예정인데, 이 기술은 독일 GTA Geoinformatik GmbH에서 개발하였다고 합니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색만 입힌 블록형태의 모델", "외관 및 지붕을 자세한 텍스처로 입힌 모델"까지 여러가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ETRI에서 작성한 차세대 내비게이션 기술 현황 및 전망이라는 글에서는 현재의 내비게이션을 "지도나 위성영 바탕으로 사용하는 2차원 또는 3차원 그래픽 기반 제품과 실사 영상 기반 제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운전자의 시야에 보이는 실제 도로의 모습을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취득하여 단말에 보여주면서 그 위에 경로 안내 정보를 부가하여 보여줄 수있도록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실감 내비게이션이 차세대 기술로 연구되고 있으며 향후 이러한 시스템은 차창 을 단말로서 이용하는 내비게이션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하고 있습니다.

기술은 계속 발전하고 있고, 성능과 용량은 계속 확대될 것이므로 언젠가는 우리나라에도 3차원 내비게이션이 등장하겠죠. 그 날을 앞당기려면 빨리 3차원 빌딩 정보를 제작하여 배포해야 할테고요.

민, 푸른하늘
====
이 글은 http://digitalurban.blogspot.com/2007/08/3d-sat-nav-in-car-21-cities-tele-atlas.html을 참고로 작성했습니다.

2007년 8월 29일 수요일

차안에서 구글 지역검색을
(In-car Google Local Search with BMW ConnectedDrive)

8월 29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사무실에서 구글 검색을 하고 그 결과를 차로 직접 보내주는 서비스, 그리고 차안에서 구글 지역검색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내용입니다. 제가 정말로 기대하던 서비스인데 구글과 BMW가 먼저 선수를 쳤네요. :-) 먼저 비디오를 보시죠.



사실 제 차에는 내비게이션이 2대 달려있습니다. 한개는 오래된 것이지만, MBC idio 교통정보가 있어서 뗄 수가 없고, 또 다른 신형 내비게이션은 DMB가 달려있어서 포기가 안됩니다. 참, 핸드폰에 탑재된 네이트 드라이브도 있으니, 모두 3개네요.

이중에서 제일 편리한 것은 사실 네이트 드라이브입니다. 사무실에서 나가면서 목적지를 설정하면 교통정보가 반영된 경로가 선택되니까 차를 타자마자 출발할 수 있죠. 일반 내비게이션은 차를 탄 다음 목적지를 설정해야 하는데, 저같이 성질이 급한 사람은 일단 출발하고 나서 설정하기 때문에 위험하기도 하고, MBC idio는 전원이 들어오고나서 전체 교통정보가 들어올 때까지 약 5분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다만, 네이트 드라이브를 사용하려면 돈을 내야 하고, 전지를 많이 소모하기 때문에 왠만하면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번 포스트처럼, 출발지를 사무실에서 설정할 수 있다면 훨씬 나아지겠죠. 사실 저는 사무실에서 교통정보를 반영한 경로까지 설정해 두고 이것을 네이게이션으로 보내는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아직 거기까지는 못나갔네요.

기술적으로는 어려울 것이 없죠. 무선통신만 지원되면 되니까. 그리고 가능하다면 모든 웹사이트와 모든 네비게이션이 호환될 수 있도록 표준이 만들어지면 훨씬 편리할 것입니다. 현재도 사실상의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고, 향후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의 표준으로 채택될 것으로 예상되는 KML을 사용하면 쉽게 해결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민, 푸른하늘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http://google-latlong.blogspot.com/2007/08/in-car-google-local-search-with-bmw.html
Wednesday, August 29, 2007 at 1:00 AM

BMW는 올 3월, 독일에서 Google Maps Send to Car (구글맵을 차로 직접 보내는)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오늘 우리는 이 서비스를 모든 유럽 BMW 고객에게 확대했습니다. 독일 구글맵외에도 미국 구글맵, 이탈리아 구글맵영국 구글맵 으로부터 기업 검색 결과를 차량항법장치에 직접 보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즉, 목적지로 출발하기 전에 지도를 출력하거나 종이에 적을 필요없이, 여러분이 원하는 것을 검색해서 구글맵을 통해 차로 보낼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차를 타서 손으로 전화번호나 주소를 직접 입력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목적지를 클릭하시기만 하면 됩니다.

"Google Maps Send to Car"는 목적지를 미리 보낼 수 있는 편리한 서비스이지만, 운전하는 도중에 어떤 회사를 찾아야 한다면 어떻게 할까요? 구글과 BMW는 BMW 온라인 독일에서 세계최초로 "차량용 구글 지역검색" 서비스를 개시하게 되었습니다. 주유소, 박물관, 혹은 근처의 음식점을 찾으신다고요? 이 서비스를 활용하시면, 여러분이 운전을 하시는 동안 구글맵으로부터 모든 정보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구글맵을 사용해서 검색을 한후, 주소를 내비게이션으로 보낼 수도 있고, 클릭만하면 전화도 거실 수 있습니다. 아주 쉽습니다. 이 비디오를 보세요. (혹은 독일어 버전 비디오 )

BMW사는 구글과함께, BMW ConnectedDrive 의 비전을 한층 강화하여, 모든 고객에게 이와같은 혁신적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
구글 LatLong 블로그 목록 : http://heomin61.tistory.com/6

2007년 8월 10일 금요일

OGC에서 KML Version 3를 논의중

지리정보관련 업체를 중심으로 GIS 및 지리정보 관련 표준을 제정하는 기관인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 에서 KML의 확장판을 준비하고 있답니다. (OGC에 대한 개요 및 구글의 움직에 대한 내용은 이 글을 보세요) 그게 Version2.xx가 될지 Version 3이 될지는 아직 논의중이지만, 확장 개정판을 준비하는 건 확실한 것 같습니다.

OGC에서 KML 다음 버전이 나온다면 얼마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KML을 수용한다는 소식과 함께 KML이 세계 표준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질 것 같습니다.

현재의 KML만해도 위치표지(Placemarks), 3D 모델, 이미지 피라미드, 관찰자위치(LookAt)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는데, OGC에서 논의하고 있는 것은 훨씬 넓은 범위가 될 것 같고,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지원범위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대해서도 논의를 하고 있다고 하네요.

현재 OGC에서 정의하고 있는 GML의 경우, 먼저 모든 기능을 포괄하는 사양(specification)을 정한 뒤, 응용범위에 따라 프로파일(profile)이라는 형태로 부분집합을 정의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할 경우 양이 문서의 양이 매우 많아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GML의 경우 400쪽 이상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KML의 경우 최소한의 기본사양만 따로 정의를 하고, 기능별로 모듈을 추가하는 방식을 고려하고 있답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아주 싼 휴대폰에서는 코어와 메타데이터만 지원하면 된다는 겁니다.


하여튼... KML이 표준에 한발자국 더 다가가는 것 같고, KML을 공부해야 할 필요성이 더 높아지는 것 같습니다.

KML이 표준이 된다면, 우리나라 인터넷지도 또는 내비게이션 지도도 영향을 받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인터넷지도나 내비게이션에서 위치를 저장할 경우, 다른 사이트 혹은 다른 기계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네이트드라이브 같은데는 물론이고요. 표준이 존재한다면 모두 호환이 될 수 있다는 뜻이고 그만큼 사용자들은 편해지겠죠.

회사들의 경우, 표준을 수용하기 위해서 새로운 개발이 필요할테고, 그때문에 구글에 종속되는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높아질 수 있고, 게다가 표준이 되었을 때 사용료를 내야한다면 더 문제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민, 푸른하늘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OGC Agile Geography kick-off discussion of KML 3를 참고로 작성하였습니다.